728x90
투자를 시작하려고 보면 “주식, 채권, 펀드, ETF”라는 용어가 꼭 나옵니다.
다들 돈을 불리는 수단인 건 알겠는데…
도대체 뭐가 어떻게 다른 걸까?
오늘은 각 자산의 개념, 수익 방식, 장단점, 추천 대상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!
📈 1. 주식 (Stock)
기업의 일부를 사는 것
- 특정 기업의 **지분(소유권)**을 의미
- 가격은 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변동
- 기업의 성장과 이익에 따라 주가 상승 가능
✅ 수익 방식
- 시세 차익: 싸게 사서 비싸게 팔기
- 배당 수익: 이익 배분 받기 (일부 기업만)
⚠️ 리스크
- 기업 부도 → 주식 가치 0원이 될 수도
- 시장/업종의 변동성 영향 큼
👤 추천 대상
- 개별 기업 분석에 관심 있는 사람
- 직접 투자, 능동적 매매를 선호하는 사람
🏦 2. 채권 (Bond)
정부나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
- 만기까지 일정 이자를 받는 채무 증서
- 국채, 회사채, 지방채 등이 있음
- 일반적으로 안정성 높고 수익은 적당
✅ 수익 방식
- 이자 수익 (쿠폰 이자)
- 만기 상환 시 원금 회수
⚠️ 리스크
- 금리 상승 시 채권 가격 하락
- 회사채는 발행 기업 부도 위험 존재
👤 추천 대상
- 안정적 이자 수익을 원하는 사람
- 단기 목표가 명확한 사람 (예: 3년 뒤 학자금)
🧾 3. 펀드 (Fund)
여러 사람이 돈을 모아 전문가가 운용하는 투자 상품
- 자산운용사가 주식, 채권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
- 직접 투자에 자신 없는 투자자에게 적합
✅ 수익 방식
- 펀드가 투자한 자산의 성과에 따라 수익/손실 발생
- 수익은 펀드 기준가 상승으로 반영됨
⚠️ 리스크
- 운용 수수료 존재 (보통 연 1~2%)
- 실적 보장 없음 (손실 가능)
- 실시간 매매 불가 (T+1~2일 반영)
👤 추천 대상
- 전문가에게 맡기고 싶은 투자자
-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하고 싶은 사람
🧩 4. ETF (Exchange Traded Fund)
펀드를 주식처럼 사고파는 상품
- 지수, 산업, 섹터, 원자재, 채권 등 다양한 자산을 추종
- 장중 실시간 거래 가능 (펀드와 주식의 장점 결합)
✅ 수익 방식
- ETF 가격 상승 시 시세 차익 실현
- 일부는 배당금 지급 (예: 고배당 ETF)
⚠️ 리스크
- 추종하는 자산군의 변동성
- 일부 ETF는 구조 복잡 (예: 레버리지, 인버스)
👤 추천 대상
- 직접 종목 고르기 어렵지만
특정 지수/테마에 투자하고 싶은 사람 - 소액 분산투자를 원하는 사람
🧠 요약 비교표
항목주식채권펀드ETF
투자 대상 | 개별 기업 | 정부/기업 | 종합 포트폴리오 | 특정 지수/자산 |
운용 주체 | 본인 | 발행기관 | 전문가 | 시장에 상장 |
수익 방식 | 시세차익, 배당 | 이자, 원금상환 | 기준가 상승 | 시세차익, 배당 |
리스크 | 높음 | 낮음 | 중간 | 중간 |
거래 방식 | 실시간 | 만기 보유 | 장외 (간접) | 실시간 (주식처럼) |
수수료 | 낮음 | 없음 | 높음 | 낮음 |
추천 대상 | 능동 투자자 | 안정 추구형 | 초보/바쁜 사람 | 분산투자자 |
✅ 결론: 나에게 맞는 투자 수단은?
- 직접 분석하고 주도적으로 투자하고 싶다 → ✅ 주식
- 안정적인 이자 수익을 원한다 → ✅ 채권
- 전문가가 굴려주는 게 편하다 → ✅ 펀드
- 소액으로 분산 투자하고 싶다 → ✅ ETF
728x90
'투자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🌎 해외 ETF 추천 TOP 5(미국/유럽/신흥국별) (6) | 2025.05.23 |
---|---|
📉 경기 침체기 투자 전략: 달러 자산과 금의 역할 (4) | 2025.05.22 |
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이란? 수익을 지키는 가장 현명한 습관 (10) | 2025.05.18 |
💰 자산 분배 어떻게 할까? 돈을 지키는 현명한 투자 전략 (3) | 2025.05.10 |
📊 고배당 ETF 추천 TOP 5 (2025년 기준) (9) | 2025.05.10 |